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책 리뷰
- 파운드리
- 경제초보
- 영어공부
- 독서 리뷰
- 한문단 외우기
- 신과함께
- 반도체 부족
- 독서리뷰
- TSMC
- SK이노베이션
- 인플레이션
- 주식 포트폴리오 추천
- 네이버증권으로 배우는 주식투자 실전 가이드북
- 삼성전자
- 주식 공부
- 책리뷰
- 자기계발서 추천
- 탈원전
- 미국주식투자
- 경제책추천
- how to win friends and influence people
- 레이어드의 미국 주식투자 원칙
- 책 추천
- 경제적 자유
- 경제책읽기
- 책 후기
- 테슬라 주가
- 테슬라
- 반도체 주가
- Today
- Total
Just be better than yesterday! :D
[독서리뷰] 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질문 TOP 77 by 염승환 (2) 본문
액면분할
- 액면분할 : 주식의 액면가액을 일정한 분할비율로 나눔으로써 주식수를 증가시키는 방법
- 액면가 : 주권 표면에 적힌 금액. 주식을 처음 발행할 때 정하는 기본 가격, 5000원이 일반적이긴 하지만 최근 들어 100원, 500원, 1000원까지 액면가가 분할되는 경우가 많이 있음
- 시가총액 : 주식수 * 주가로 액면분할은 기업의 시가총액에 어떤 영향도 주지 않는다.
- 액면분할의 효과 : 비싸서 거래가 어려웠던 기업의 가격을 낮춰서 거래를 용이하게 해 주고, 거래량이 너무 적어서 매매가 어려웠던 기업은 주식수를 증가시켜 거래를 활성화시켜 줍니다. 기업가치 변화는 없지만 주식거래 활성화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방법
- 액면병합 : 액면분할과 정반대. 액면가를 증가시켜 주식수를 감소시키고, 주가는 비율만큼 상승시키는 방법
기업의 분할
- 분할 : 회사 내의 여러 사업부를 떼어내서 새로운 회사로 만드는 것을 의미
- 분할의 방식 : 인적분할과 물적분할 (기업이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인적분할)
- 인적분할 : 주주의 지분이 나눠지는 분할로 분할 후에는 별개의 기업으로 시장에 상장되고 거래됩니다.
- 인적분할의 효과 : 경영효율화와 지주사 전환
- 물적분할 : 회사의 재산을 분할하는 것으로 보유한 지분에 어떠한 변화도 생기지 않는다.
분할을 통해 투자자들은 기업의 숨겨진 가치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업 분할은 잘만 활용되면 기업 가치를 제고하고 시장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배당
- 배당 : 주식을 가지고 있는 주주들에게 보유한 지분에 따라서 기업이 벌어들인 돈의 일부를 지급하는 것
- 배당성향 : 기업의 연간 순이익에서 배당으로 주는 비율
- 배당수익률 : 연간 배당금을 현재주가로 나누면 그 기업의 현재가 기준 배당수익률이 된다.
투자를 하고 그 금액만큼의 지분을 받고 이익이 발생하면 대당을 받는 것이 주식투자입니다.
선물옵션만기일
주식은 기업의 지분을 사는 것입니다. 기업의 지분을 사서 10년 이상 장기 보유할 수도 있고, 매수한 당일에 매도해서 지분을 정리할 수도 있습니다. 보유기간에 제한이 없는 것이죠.
반면에 선물과 옵션이라는 상품은 보유할 수 있는 최대 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 선물(Futures) :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 일정 시점에 인도, 인수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
- 옵션(Options) :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일정한 기간 내에 상품이나 유가증권 등의 특정 자산을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
- 선물옵션만기일 : 선물과 옵션을 더 이상 보유할 수 없는 만기일
- 선물옵션 동시만기일 : 선물과 옵션이 둘 다 동시에 만기를 맞는 3,6,9,12월 두 번째 목요일을 의미합니다. 선물과 옵션이 동시에 만기를 맞기 때문에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매우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한국 증시에서 선물은 3개월마다 한 번씩 만기가 돌아옵니다. 옵션은 1개월마다 한 번씩 만기가 돌아옵니다. 선물은 3,6,9,12월 물이 있고 옵션은 1~12월 물이 있습니다. 선물은 만기일이 3,6,9,12월 두 번째 목요일입니다. 옵션은 매월 두 번째 목요일이 만기일입니다.
외국인 투자자
한국 주식시장은 100%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든 자유롭게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외국인, 기관, 개인투자자 모두 수익을 내기 위해 투자하기 때문에 목적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투자방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 자금운용 방법은 제각기 조금 상이합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대규모 자금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들이 굉장히 많기 때문에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큽니다. 한국시장은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보았을 때 신흥시장에 속해 있습니다. 때문에 신흥국의 환율이 매우 중요합니다.
한국의 주가지수가 원달러 환율이 하락할 때(원화 강세) 외국인의 순매수로 상승하는 경우가 많은 이유가 거기에 있습니다. 지수와 연동되는 대형주 중심으로 투자를 하는 것이 특징적입니다.
외국인 입장에서는 한국, 중국, 대만이 비슷해 보일 수 있습니다. 외국인도 자금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중에서 더 매력적인 국가, 기업에 투자를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 중국과 대만과의 상대평가, 글로벌 경기 등에 따라 자금을 유출하기도 하고 유입시키기도 합니다.
기관투자자
- 기관투자자는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금융투자, 투신, 은행, 보험, 종금, 연기금, 사모펀드 등으로 기관투자자를 분류할 수 있는데 각 주체마다 성격이 조금 다릅니다.
- 은행, 보험, 종금은 각각 은행, 보험, 종금의 일부 자산을 가지고 투자를 하는 기관투자자입니다.
- 연기금은 사실 여러분의 돈을 가지고 운용하는 기관투자자입니다. 대표적인 기관이 바로 국민연금입니다.
- 사모펀드는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주식, 채권 등에 투자하는 기관투자자
기관투자자는 사실 과거에 비해 영향력이 많이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대규모 자금을 운용하고 있고 응집력이 강해서 기관들이 공통적으로 매수하고 매도하는 기업들은 주가가 큰 변동성을 보입니다.
공매도와 대차거래
- 공매도는 말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는 것입니다. 투자자 본인이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빌려서 파는 것을 뜻합니다. 주가가 하락하면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 방법입니다.
- 대차거래는 주식을 빌리는 거래를 의미합니다.
대차거래를 하고 공매도를 한 후에 다시 주식을 사고 그 주식을 갚으면 공매도 투자는 완료됩니다.
컨센서스
실적은 기업의 성적표입니다. 기업이 사업을 잘하고 있는지, 이 기업의 미래가 밝은지 투자자들은 매번 검증을 해야 합니다. 매 분기마다 발표되는 실적을 통해 기업의 성장 여부를 검증할 수 있습니다.
- 컨센서스 : 시장이 기대하는 실적 예상치
- 어닝 서프라이즈 :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10% 이상 상회하는 것
차트 기본 분석
- 양봉 : 시가보다 현재가(종가)가 더 높은 상태로 매수의 힘이 매도의 힘보다 강한 상황
- 음봉 : 시가보다 현재가(종가)가 더 낮은 상태로 매도의 힘이 세기 때문에 약세
https://m.mk.co.kr/news/stock/view/2021/05/444322/
매일 보는 음봉, 양봉 차트 제대로 알자 [5화]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3월 주식거래 활동 계좌 수가 4000만개를 넘어섰습니다. 주식을 시작한 사람이 그만큼 많아졌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위 말하는 핫한 섹터나
www.mk.co.kr
주가가 이동평균선보다 위에 있으면 상승을 의미하고, 아래에 있으면 하락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 정배열 : 짧은 기간의 이동평균선이 긴 기간의 이동평균선보다 위에 있는 것을 의미함. 상승추세의 종목을 이동평균선이 정배열되어 있다고도 표현함(5일>10일>20일>60일>120일). 주가와 이동평균선이 꾸준히 상승하는 것으로, 향후 강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패턴
- 역배열 : 긴 기간의 이동평균선이 짧은 기간의 이동평균선보다 위에 있는 것을 의미함. 하락 추세의 종목을 이동평균선이 역배열되어있다고도 표현함(5일 <10일 <20일 <60일 <120일). 주가와 이동평균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향후 약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패턴
- 골든크로스 :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 위로 돌파해서 올라왔을 때. 상승추세로의 전환을 알리는 강한 상승신호 중의 하나
- 데드크로스 :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 아래로 떨어졌을 때. 골든크로스와는 반대로 하락 추세로의 전환을 알리는 신호
- 거래량 : 매수와 매도가 이루어진 합계
보통 주가가 상승하면 거래량이 증가합니다. 거래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사는 사람도 많고, 파는 사람도 많다는 뜻이다.
주가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악재들이 나왔을 때 '거래량 증가, 주가급락' 현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거래량은 대체로 주가에 선행합니다. 상승하던 주가가 거래량이 감소하면 주가는 단기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추세선 : 저점은 저점끼리 연결하고, 고점은 고점끼리 연결하는 것.
- 지지선 : 저점과 저점을 연결한 추세선
- 저항선 : 고점과 고점을 연결한 선
추세는 방향의 지속성을 의미합니다. 상승추세는 상승의 지속성을, 하락 추세는 하락의 지속성을 의미합니다. 한 번 형성된 주가의 추세는 쉽게 바뀌지 않습니다.
- 이격도 : 주가와 이동평균선과의 간격을 나타내는 보조지표로 100을 기준으로 100이면 주가와 이동평균선이 똑같다는 것이고, 110이라는 것은 현재가가 이동평균선보다 10% 위에 있다는 의미이고 100 이하면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에 있다는 것
연방공개시장조작위원회(FOMC)
- 연방준비제도(연준/FED) : 미국의 중앙은행. 12개의 지역 연방준비은행과 연방준비위원회, 연방공개시장조작위원회(FOMC)로 구성되어 있고 이 중 FOMC는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기관
FOMC는 일 년에 8번의 정기회의를 개최합니다. 특히 8번의 정기 회의 중에서 3,6,9,12월에 열리는 FOMC는 매우 중요합니다. 경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금리 결정 등 중요한 정책들이 3,6,9,12월에 결정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FOMC 일정 확인(미국 연준 홈페이지)
https://www.federalreserve.gov/monetarypolicy/fomccalendars.htm
The Fed - Meeting calendars and information
Please enable JavaScript if it is disabled in your browser or acces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links provided below. Meeting calendars, statements, and minutes (2016-2021) The FOMC holds eight regularly scheduled meetings during the year and other meetin
www.federalreserve.gov
- 매파 : 강경파. 경기과열로 물가가 상승하면 금리인상을 통해 경기과열을 막으려는 세력을 의미
- 비둘기파 : 온건파. 경기침체로 물가가 하락하면 금리인하를 통해 경기를 부양시키려는 세력
- 양적완화 : 중안 은행이 돈을 대규모로 찍어내고(발행하고), 그 찍어낸 돈으로 국가가 발행한 채권인 국채나 민간 기업들이 발행한 회사채를 매입해 시중에 돈을 대량으로 유입시키는 통화정책. 중앙은행의 돈이 시장으로 나가고 중앙은행은 국채나 회사채를 보유하게 됩니다.
양적완화는 돈을 찍어내서 시중에서 유통시키는 정책이기 때문에 돈의 양이 매우 많아지게 됩니다. 돈의 공급이 늘어난다는 의미고, 공급이 늘면 당연히 돈의 가치는 떨어지게 된다.
양적완화는 돈의 가치를 금리인하보다 더 급격히 떨어뜨린다. 그러면서 자산의 가치가 올라가 현금과 반대에 위치한 자산인 부동산, 주식, 원자재 등 실물자산의 가치는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MSCI 지수
- MSCI(Mogar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 패시브 펀드를 기준으로 삼는 기준으로, 미국의 모건스탠리가 개발한 전 세계 주식시장의 기준이 되는 지수 중 하나. 선진지수, 신흥지수, 프로티어(개발도상국) 지수 3개로 나뉜다.
한국은 신흥지수(EM)에 편입되어있다. MSCI는 매년 2월 말, 5월 말, 8월 말, 11월 말에 정기적으로 리밸런싱을 하여 그때마다 한국 증시는 외국인 매매에 따라 변동성이 커지곤 합니다.
블록딜
- 블록딜 : 주식을 대규모로 보유한 주요 주주가 사전에 매도 물량을 인수할 매수자를 구해 시장에 여양을 끼치지 않도록 장 개시 전이나 장 마감 후에 지분을 넘기는 거래. 대주주가 지분을 매각할 때 주로 사용하고, 지분을 매각하기 전에 일단 투자자를 모집합니다. (주로 외국인과 기관투자자) 보통 현재가에서 7% 아래로 할인을 해줌.
- 블록딜은 왜 악재일까 : 1) 유통주식수가 늘어난다. 2) 투자심리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원달러 환율
- 환율 : 한 나라의 화폐와 외국화폐와의 교환비율. 원달러 환율은 우리나라 원화와 미국 달러화의 교환비율이고, 엔 달러 환율은 일본 엔화와 미국 달러화의 교환비율. 환율이 하락한다는 것은 그 나라의 통화가치가 상승한다는 의미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주식시장에 투자하려면 원달러 환율을 1순위로 고려합니다. 달러화 대비해서 우리나라의 원화가 더 강할 것이라면(원달러 환율 하락), 달러를 팔고 삼성전자 같은 한국 주식을 사는 것이 유리합니다.
주린이가 알고싶은 최다질문 TOP 77 (1)
[독서리뷰] 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질문 TOP77 by염승환 (1)
염승환 부장님 책이 나와서 꼭 읽어보려고 했었는데 드디어 읽었다. 유튜브 참 잘 챙겨보고 투자에 도움도 많이 받았었는데 책 역시 정리가 정말 잘되어있다. 주식 투자할 때 기본적으로 알아야
realwrld.tistory.com
'자기계발 > 독서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리뷰] 떠난 후에 남겨진 것들 by 김새별,전애월 (0) | 2021.06.23 |
---|---|
[독서리뷰] 메타버스 이미 시작된 미래 by 이임복 (0) | 2021.06.22 |
[독서리뷰] 할일이 아닌 한일을 기록하라 by 이민우 (0) | 2021.06.12 |
[독서리뷰] 나는 매일매일 부자로 산다 by 닉 할릭, 개릿 군더슨 (0) | 2021.06.09 |
[독서리뷰] 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 간다 by 유성호 (0) | 2021.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