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 be better than yesterday! :D

경제 책 읽기#3 네이버 증권으로 배우는 주식투자 실전 가이드북 2) 본문

초보 투자자/책

경제 책 읽기#3 네이버 증권으로 배우는 주식투자 실전 가이드북 2)

JJourney 2020. 4. 26. 19:44
728x90

 

1. 펀드

 

- 주식형 펀드 : 대부분의 운용자금을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

- 채권형 펀드 : 대부분의 운용 자금을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

 

- 일반적으로는 주식형 펀드의 수익률이 채권형 펀드보다 높고, 채권형 펀드가 리스크가 적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이다.

- 채권형 펀드는 설정액이 클수록 좋다. 채권투자는 규모가 클수록 투자 대상과 운용에 융통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 반면 주식형 펀드는 규모가 너무 커도 문제다. 그리고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규모와 거래량, 거래대금을 생각해볼 때, 5000억 원 이상의 펀드라면 거의 대부분 삼성전자를 비롯한 대형주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상위 대형주에 분산하여 투자하므로 실적은 거의 인덱스 펀드와 비슷해진다. 

 

- 선취수수료 있음 -> 총보수 낮음 -> 장기투자에 유리함

- 선취수수료 없음 -> 총보수 높음 -> 단기투자에 유리함

 

-표준편차 : 자료가 중심에서 얼마나 분산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펀드에서는 변동성을 의미)

               -> 작을수록 지수 대비 초과 성과 손실 작음

-베타 : 주식시장의 변화에 대한 펀드수익률 민감도(베타가 1보다 작으면 이 펀드가 시장지수보다 덜 민감하게 움직임)

              -> 증시 상승기에는 큰 베타값의 펀드가 유리, 증시 하락기에는 작은 베타값의 펀드가 유리

-트레킹 에러 : 펀드의 수익률이 지수 수익률에 비해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가를 측정하는 지표로 지수 추적오차라고도 한다.

               -> 지수를 얼마나 잘 따라가는 가로 인덱스 펀드일수록 트레킹 에러가 0에 근접하며 클수록 지수 대비 수익의 변동성이 큼

-샤프 비율 : 위험 1 단위에 대한 초과수익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 높을수록 동일한 위험 대비 더 높은 수익이 가능

-젠센의 알파 : 펀드 수익률이 균형 상태에서 수익률보다 얼마나 높은 지를 나타내는 지표

                -> 알파가 0 이상에서 크면 클수록 투자 위험 대비 더 큰 초과수익을 얻었다는 뜻

-정보비율 : 적극적인 투자활동의 결과로 나타나는 초과수익률과 적극적인 활동에 따른 수익룰의 표준편차 비율

                -> 펀드 비교 시 더 높은 펀드가 초과 성과의 지속성이 높다.

 

 

2. 리포트 

 

- 종목 분석 리포트 : 관심 종복에 대한 정보 획득

  -> 맹신할 수도, 그렇다고 무시하기도 힘든 부분이다. 

- 내 관심종목을 분석하기 위한 참고자료로 보는 것이 좋다. 내가 먼저 투자 대상 종목을 선정하고 이를 분석하는 가운데 증권사의 리포트를 참고하는 방식이다.

 

- 산업 분석 리포트 : 업종의 분위기 파악

- 시장의 큰 흐름을 읽는데 중요하다. 

- 자신이 투자하려는 종목이 있다면 먼저 해당 업종에 대한 산업 분석 리포트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 경제 분석 리포트 : 경제가 돌아가는 상황 이해

- 각종 경제지표에 대한 분석이 정리되어 있다. 

 

네이버 증권(2020.03.26)

 

<네이버 리서치 활용법>

1. 시황 정보 리포트를 통해 최신 주식시장 상황을 살펴볼 수 있다. 하나의 시황에 대해 증권사별 같은 이야기를 내는 경우가 많으니, 좋아하는 증권사를 한두 개 정도 정해두고 읽으면 된다.

2. 투자전략 리포트에서는 달러, 해외 증시, 부동산 최근 뉴스와 관련한 시장의 여러 가지 투자에 대한 이야기를 보여준다.

3. 종목 분석 리포트에서는 개별 종목에 대한 증권사의 분석이다. 아무리 좋은 내용의 이야기가 있다고 하더라도, 어디까지나 종목에 대한 긍정적 분석일 뿐이며 절대로 종목추천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4. 산업 분석 리포트에서는 업종별 산업 분석을 한다. 투자 대상 종목에 대한 업종 경기를 먼저 확인하는데 유용하다.

5. 경제 분석 리포트에서는 조금 더 큰 흐름에서의 경제 전체의 흐름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장기투자자라면 반드시 필요한 내용이다.

 

 

 

 

728x9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