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 be better than yesterday! :D

경제 책읽기#2 ETF 초보 투자기술 본문

초보 투자자/책

경제 책읽기#2 ETF 초보 투자기술

JJourney 2020. 4. 12. 16:15
728x90

 

이북으로 읽었는데 나 같은 초보가 개념을 잡기에 아주 좋은 책이다. 초보에게 강추한다!!

 

1. 증권 : 돈으로 가치가 있는 것을 법적으로 증명하는 문서 

   ex) 주식, 채권

 1) 주식 : 회사가 발행하는 권리 문서

  - 코스피 : 한국 종합주가지수(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 이 시장에 참여하고 잇는 모든 기업들의 주가들을 일정 공식에 의해 평균한 값

  - 회사는 주식을 발행해서 시장에 팔면 돈이 나오니까 주식시장에 참여하려고 함

 

  2) 채권 : 차용증서

     ex) 국채(국가가 발행), 회사채(기업이 발행)

           단기채권(3년 이내), 중기채권(5년~10년), 장기채권(10년 이상)

 

  3) 펀드 : 증권회사가 만든 금융상품

     - Active Fund

  

  4) ETF(Exchange Traded Funds) : 상장지수 펀드

     - 주식시장에 등록된 다수의 기어들의 주식에 동시에 분산투자

     - Passive Fund

     - KODEX : 삼성증권 / Tiger : 미래에셋 대우 / Kbstar : KB 증권 / Arirang : 한화투자증권 / Kosef : 키움증권

 

   5) 선물

    - 현물거래 : 현재 시점에서 물건을 사고파는 것

    - 선물거래 : 오늘은 물건 구입하기 위한 약속만 하고 물건과 돈의 실제 교환은 나중에 함

                       -> 물건 가격이 갑자기 폭등하거나 폭락해서 구매자나 판매자가 손해보지 않도록 하기 위함

 

   6) ELS(Equity Linked Securities)

    - 주가연계채권 : 설정된 주가지수들의 조건에 따라 수익을 받을 수 있을지 없을지 결정됨

    - 낙인(Knock-in) 조건 

      : 투자 기간 중 기초자산 가격이 낙인 값 아래로 내려간 상태에서 조기/만기 평가일에 기초자산이 상환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만기 시 기초 자산의 최초가 대비 하락률만큼 원금 손실을 입게 되는 기준선

       ex) 낙인 조건이 60일 때 3년 이내 연계된 3개의 주가지수 중 어느 하나라도 최소기준 가격 대비 60% 이하로 떨어지면(-40%) 게임을              계속하게 해주지 않고 100% 날아감

 

*전일비 : 바로 하루 전 ETF 상품 가격과 비교하여 얼마나 가격 변동이 있었는지

*NAV(Net Asset Value) : 순자산가치

   - ETF 한주가 실제 보유하고 있는 가치

   - NAV > 현재가 : 가격 떨어지는 추세

   - NAV < 현재가 : 가격 올라가는 추세

*시가총액 : 주식 수 X 현재 가격

*시가, 고가, 저가

*상한가, 하한가(30%)

*펀드 보수 : 수수료

*파생상품 : 미래의 특정한 시점에 특정 가격으로 물건을 거래하기로 약속한 무형의 금융상품

*H : 환헷지 - 단기간의 급격한 환율 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줄이려고 만든 거래 방식 -> 안전성을 높이는 상품

 

******초보는 가능한 덜 위험한 걸 사야 된다*******

 

-KODEX 국고채 3년

-KBSTAR 중장기 국고채 액티브

-KBSTAR 국채선물 10년

-TIGER 미국채 10년 선물

-KODEX 미국채 울트라 30년 선물(H)

 

******ETF 살 때는 펀드 보수와 시가총액 고려******

 

대체로 주식이 떨어지면 채권이 오르고 주식이 올라가면 채권은 덜 올라간다.

 

<초보자 자산배분>

주식 30%                    ex) Tiger200 - 15%, Tiger미국 S&P500(H) - 15%

장기채권 30%             ex) Kbstar 10년 한국 , Tiger 10년 미국

중기채권 20%             ex) Kbstar 중장기 국공채 액티브

단기채권 20%             ex) kodex 국고채 3년

 

- 주식시장이 하락세면 보유하고 있던 주식 상품을 전부 팔고, 그 돈을 채권에 다시 투자

- 채권은 한 번에 목돈으로 사는 게 이득(적립식도 괜찮음)

728x9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