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경제적 자유
- 인플레이션
- 테슬라 주가
- how to win friends and influence people
- 한문단 외우기
- 경제책추천
- TSMC
- 미국주식투자
- 책 추천
- 경제책읽기
- 파운드리
- 반도체 부족
- 책리뷰
- 주식 공부
- 삼성전자
- 영어공부
- 네이버증권으로 배우는 주식투자 실전 가이드북
- 주식 포트폴리오 추천
- 책 리뷰
- 경제초보
- 탈원전
- SK이노베이션
- 자기계발서 추천
- 신과함께
- 독서리뷰
- 책 후기
- 레이어드의 미국 주식투자 원칙
- 독서 리뷰
- 반도체 주가
- 테슬라
- Today
- Total
목록초보 투자자 (45)
Just be better than yesterday! :D

1. 펀드 - 주식형 펀드 : 대부분의 운용자금을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 - 채권형 펀드 : 대부분의 운용 자금을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 - 일반적으로는 주식형 펀드의 수익률이 채권형 펀드보다 높고, 채권형 펀드가 리스크가 적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이다. - 채권형 펀드는 설정액이 클수록 좋다. 채권투자는 규모가 클수록 투자 대상과 운용에 융통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 반면 주식형 펀드는 규모가 너무 커도 문제다. 그리고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규모와 거래량, 거래대금을 생각해볼 때, 5000억 원 이상의 펀드라면 거의 대부분 삼성전자를 비롯한 대형주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상위 대형주에 분산하여 투자하므로 실적은 거의 인덱스 펀드와 비슷해진다. - 선취수수료 있음 -> 총보수 낮음 -> 장기투자에 유리함 ..

1. 투자종목 찾기 1) 배당주 - 배당: 주식회사가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것 - 배당 수익률이 좋다고 무조건 좋은 주식은 아니다. 그러므로 배당수익률을 참고하되, 종목에 대한 분석이 우선되어야 한다. - 네이버에서 알려주는 배당수익률은 과거의 자료일 뿐이라, 다음번에도 똑같이 주는 것은 아니다. (배당을 줄일 수 있다.) - 기준일 : 배당금과 수익률을 알려주는 날 - 배당성향 : 기업의 이익 중 배당금이 얼마나 되는지를 알려주는 비율 - 일 년에 한 번 배당을 주는 기업을 기준으로 생각해 볼 때, 보통 12월 말일을 기준으로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면 된다. 그런데 주식은 매수한 날까지 포함하여 3 거래일이 걸린다. 따라서 배당 기준일부터 주식시장 거래일을 기준으로 3일 전에는..
Ryan Scribner의 QUIT MY $70,000 JOB AFTER LEARNING THIS LESSON ABOUT MONEY https://www.youtube.com/watch?v=_8M4HC19XDo 이 영상에서 설명하는 돈에 대한 내용을 배우고 연봉 $70,000 직장을 그만두었다고 한다!!! 미국 기준이라 주 단위로 설명한다. $ X 40시간 = PAYCHECK ex) $10 X 40시간 = $400 (SKILL) (TIME) 돈을 더 벌기 위해서는 두 가지 옵션이 있다. 1) 더 많이 일한다(TIME) 2) 시급을 높인다(SKILL) 1. Bad Solution : 40시간 이상 더 많이 일한다.(ㅠㅠ) 2. Better Solution : 능력을 개발한다. ex) 대학교를 가거나 강의를..

이북으로 읽었는데 나 같은 초보가 개념을 잡기에 아주 좋은 책이다. 초보에게 강추한다!! 1. 증권 : 돈으로 가치가 있는 것을 법적으로 증명하는 문서 ex) 주식, 채권 1) 주식 : 회사가 발행하는 권리 문서 - 코스피 : 한국 종합주가지수(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 이 시장에 참여하고 잇는 모든 기업들의 주가들을 일정 공식에 의해 평균한 값 - 회사는 주식을 발행해서 시장에 팔면 돈이 나오니까 주식시장에 참여하려고 함 2) 채권 : 차용증서 ex) 국채(국가가 발행), 회사채(기업이 발행) 단기채권(3년 이내), 중기채권(5년~10년), 장기채권(10년 이상) 3) 펀드 : 증권회사가 만든 금융상품 - Active Fund 4) ETF(Exchange 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