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테슬라
- 탈원전
- 영어공부
- 책 리뷰
- 네이버증권으로 배우는 주식투자 실전 가이드북
- 신과함께
- 테슬라 주가
- 미국주식투자
- 책리뷰
- 자기계발서 추천
- 파운드리
- 경제책읽기
- 주식 포트폴리오 추천
- how to win friends and influence people
- 책 후기
- 경제초보
- 한문단 외우기
- 경제적 자유
- 레이어드의 미국 주식투자 원칙
- 독서 리뷰
- 주식 공부
- 독서리뷰
- 책 추천
- 반도체 부족
- 인플레이션
- TSMC
- 경제책추천
- SK이노베이션
- 반도체 주가
- 삼성전자
- Today
- Total
Just be better than yesterday! :D
[최진기의 생존경제] 기회비용의 의미 본문
*기회비용 : 어떤 하나의 재화를 선택함으로써 포기되는 재화의 가치 중 가장 큰 재화의 가치
*합리적 선택 : 편익이 기회비용보다 큰 선택
*기회비용이 없는 재화 : 햇빛, 공기
*자유재 : 너무 많아서 기회비용이 0인 재화
*기회비용이 음(-)인 재화 : 핵폐기물,폐차
*불용재 : 어느 것을 선택하더라도 기회비용이 음(-)인 재화
*매몰비용 은 합리적 선택의 고려 대상이 아님
*기회비용 = 명시적 비용/회계비용 + 암묵적 비용
*최대 소비 가능 직선 : 최대로 소비할 수 있는 선을 연결하는 것
- 재화의 가격이 비쌀수록 포기해야 하는 것도 커지기 때문에 기회비용도 커짐
*사치품 >> 필수품 >> 기펜재
*열등재 : 소득이 늘면 소비가 감소하는 재화(예 : 햄버거)
*기펜재 : 가격이 하락해도 소비가 감소하는 재화(예: 고무신)
*위풍재 : 가격이 상승했는데도 소비도 증가하는 재화(예: 명품)
*사치품 : 가격이 비싸지면 소비가 감소함
*공리주의 - '대다수의 최대 행복' -> 복지국가와 연결됨
똑같은 재화가 있으면 가난한 국가에게 주어야 효용이 커진다는 개념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 소비하는 재화의 마지막 단위가 가지는 효용을 말함. 소비의 단위가 커지면 재화로부터 얻게 되는 만족이 점점 감소하게 됨
*최대 생산가능 곡선 : 주어진 생산요소와 기술 수준을 동원하여 최대로 생산 가능한 두 재화의 조합을 나타내는 곡선
- 생산은 직선이고 소비는 곡선임 -> 물건을 하나만 다 만들면 효율성이 떨어짐. 생산을 하다 보면 최대 생산 가능 곡선이 휘게 되기 때문
*GDP 증가의 두 가지 요인
1) 기술혁신 - 생상성 향상
2) 생산요소(자본, 노동, 토지) 투입 증가
-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중 경제발전 속도가 더 빠른 것은 개발도상국임 : 선진국이 되려면 생산 요소 투입 증가로는 한계가 있고 기술혁신 등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해야 하기 때문
*중진국의 함정 : 어떤 국가도 중진국에서 선진국이 되기 어렵다는 것
'초보 투자자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FOMC 총정리 (0) | 2021.06.17 |
---|